안녕, 협치노원
'협치'의 의미는 무엇일까요?
일방적 행정은 이제 그만 ~!
협치란 지역주민이 우리 동네와 주민을 위해 필요한 사업은 어떤 것이 좋을지 직접 발굴하여 의제를 만들고,
행정의 다양한 경험과 예산을 통해 정책을 완성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.
더 많은 지역주민이 모여 공감하고 숙의한 의제를 주민과 행정이 손잡고 같이 실행하는 것,
같은 곳을 바라보며 함께 우리는 만들어 가는 것, 그것이 노원구가 바라는 '협치'입니다.


'협치'와 함께한 노원구의 발자취
- 노원구 마을공동체과 ‘협치지원단’ 신설(2018.9.)
- 서울특별시 노원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(2018.9.)
- 노원구협치회의 발족 및 협치위원 위촉(2018.10.)
- 노원구 지역사회혁신계획 3개년(2018-2020) 계획 수립
- 2019년 협치기반 구축 사업 및 부문별 15개 실행과제 완수
- 2020년 협치기반 구축 사업 및 부문별 11개 실행과제 추진중

2020년 협치기반 구축분야/부문별 실행과제
협치기반 구축분야
구축분야 | 구축내용 |
---|---|
협치조례 제정 |
서울특별시 노원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(2018.9.) |
협치추진 조직 확충 |
협치노원지원단 구성 및 운영(2018.2.) 협치 주무부서 '마을공동체과' 신설(2018.9.) |
노원구협치회의 구성 |
행정+민간위원 총 29명 위촉(2018.10.) |
참여예산 융합형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|
시 참여예산+구 협치회의 융합 "구단위계획형 지역사회혁신계획" 출범(2019.4.) |
협치의제 발굴 및 공론장 활성화 |
온·오프라인 의제발굴(2020. 4.~5.)/ 우선순위 선정 주민공론장 개최(2020.7월중) |
협치행정협의회 및 워킹그룹 활성화 |
2020년 11개 실행과제 워킹그룹 구성 및 활동(주민, 중간지원조직, 행정 130명) |
시민예산학교 운영 |
참여민주주의의 확산 및 민간 협치역량 강화 |
협치역량 강화교육 |
민관협치 이해 주민교육 기본·심화(2020.9.) / 민관협치 이해 공무원교육 기본·심화(2020.10.) |
협치친화적 인사제도 도입 |
노원구협치조정관 채용(2020.하반기) |
부문별 실행과제(9개 부서, 11개 과제)
- 우리동네 지하보도 음악이 흐르는 아트갤러리
- 어르신 건강을 위한 체육시설 조성
- 바이크라인 우리가 지켜요! 자전거 패트롤단 구성
- 굿모닝 체조, 바르게 걷기 교실
- 커뮤니티 케어 돌봄 서비스
- 씽씽 우린 자유다
- 공동육아 문화확산을 위한 든든한 부모되기 교육
- 방치된 유휴공간을 위한 청소년을 위한 문화제작소로!
- 청소년 안심 아지트 조성
- 노원환경생태여행
- 사람과 자원을 연결하는 환경여행지도 만들기
협치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거나
더 많은 당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면?
지금 바로 협치 제안이 하고 싶다면
협치 와글와글로!
최종수정일 : 2020-04-20 17:27:12